산염기 중화반응 결과레포트

산염기 중화반응 결과레포트

728x90

반응형

1. 실험명: 산염기 중화반응

2. 실험일시: 2021.10.5. 실험 온습도: 24.9도 56%

3. 서론

1. 노르말농도

1) 노르말농도 (normality) : 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로 용액 1L 속에 녹아 있는 g 당량수를 나타낸 농도이다. 기호로 N이라 표시한다. 산·알칼리 중화반응 또 는 산화제와 환원제의 산화환원반응의 계산 등에 널리 사용된다.

N =

2) 당량 (equivalent) : 화학 반응에서 양적 관계를 근거로 각 원소 또는 화합물마다 할 당된 일정한 양을 뜻하며 화학당량이라고도 한다. 산염기에서의 당량은 산으로 작용 하는 수소의 1 당량을 함유한 산의 양 또는 이것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염기의 양 을 말한다.

2. 몰농도

가. 몰농도 (Molarity) : 용액 1L 속에 녹아 있는 물질의 양을 몰로 나타낸 농도이다. 기호 로 M이라 표시한다.

M : 몰농도

n : 용질의 양(몰의 수)

N : 부피 V에 들어있는 분자 수

아보가드로수 (6.022 x 10개)

1 molar = 1M = 1mol/L

3. 중화반응

1) 중화반응 (neutralization reaction) :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을 생성하는 반응 을 말한다.

2) 알짜 이온 :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을 말한다.

3) 구경꾼 이온 :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이온을 말한다.

4. 지시약

*지시약 : 산염기 지시약은 용액의 pH를 검출하는데 쓰이는 화학 약품이다. 페놀프탈 레인은 염기성에서 붉은색, 산성과 중성에서 무색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지시약

1) 페놀프탈레인 : 염기를 구별할 수 있으며 염기성에서 붉은색, 산성과 중성에서 무 색을 나타낸다.

2) 티몰프탈레인 : 염기성일 때 청색, 초강산일 때 황색이 된다.

3) BTB 용액 : 산, 중성, 염기 모두 구별할 수 있다. 산성에서는 황색, 중성에서는 녹 색, 염기성에서는 청색을 띤다.

4) 메틸 오렌지 : 강산성만 구별할 수 있다. 강산성일 때 적색이고 약산성과 염기성, 그리고 중성일 때 황색이 된다.

5) 리트머스 시험지 : 지시약은 아니지만 산염기를 구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붉은 색이 푸른색으로 변하면 염기성이고 푸른색이 붉은색으로 변하면 산성이다.

5. 적정

1) 적정 : 적정은 양적 화학분석의 실험 방법 중 하나이며 분석 대상 용액의 농도를 결 정하기 위해 쓰인다. 반응물이 종말점에 이르면 분석 대상 용액의 농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종말점은 달량점(중화점)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해 pH 미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2) 당량점 : 당량점은 중화반응을 포함한 모든 적정에서 양적인 관계를 이론적으로 계산 하여 구한 점을 말한다. 쉽게 말해 두 가지 물질이 반응을 일으키며 화학적 당량에 도달한 점을 당량점이라 한다. 중화 반응의 경우에는 중화점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실험적으로 검출된 종말점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3) 종말점 : 적정이 끝나는 지점을 뜻하며 적정을 멈추는 지점을 말한다.

6. 폐액 (waste liquor) : 자연 환경에 손상을 입히는 물질을 고농도로 포함하며 공업 자 원으로부터 폐기된 액체를 말한다. 만약 그것이 다른 곳에서 사용될 수 없다면 폐액 은어떤 형태로든 항상 처리되어야 한다.

4. 실험과정

① Sodium hydroxide 0.4g를 정량한다.

② 100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표선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메스업) -

ⓐ용액(0.1N NaOH용액)

③ 식초 10g를 정량한다.

④ 100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표선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메스업) -

ⓑ용액(미지시료)

⑤ ⓑ용액에서 25mL를 분취하여 100mL 코니칼비이커에 옮겨 담는다.

⑥ ⑤에 Phenolphthalein용액을 지시약으로서 넣는다

⑦ 50mL 뷰렛에 ⓐ용액을 채운다.

⑧ ⓑ용액이 채워진 코니칼비이커에 뷰렛에 채운 ⓐ용액을 변색이 될 때까지 떨어뜨린다. (적가)

⑨ ⑤~⑧과정을 2번 더 반복하고, 결과값을 계산한다.

5. 실험결과

실험결과값: 28.7mL, 29.1mL, 29.0mL

6. 고찰 및 검토

*주의사항*

* 정량병 무게 0점 조절

양쪽 문을 열고 무게를 재면 공기의 흐름 때문에0점 조절이 잘 안되므로

문을 닫고 재야 0점 조절이 된다

* 저울 을 쓸 땐 , 시약을 항상 소분해서 무게를 재야한다

*매그니커스 제일 하단에 눈금을 맞춘다

시약이 투명 할 경우에는 눈금을 위로 맞춘다

* 파라필름 씌우는 이유는 비이커 안에 내용물이 오염되지 않기 위해서다

*플라스크를 잘 세척해야 하는 이유는

이물질이 껴있게 되어 물방울들이 맺히기 때문에

실험이 종료되면 항상 세척을 잘 해야한다

7. 결론

재실험을 하게된다면 ,

-매니스커스 눈금조절을 할 때 시약이 투명한지 불투명한지에 따라

하단에 맞출지 상단에 맞출지 제대로 기억하며 조절을 해야겠습니다

- 실험이 끝나면 플라스크와 비커를 이물질이 남지 않도록

잘 세척하여 마무리 해야 겠습니다

8.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 코니칼비이커 , 뷰렛

728x90

반응형

from http://simba-note.tistory.com/296 by ccl(A) rewrite - 2021-10-15 14:2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