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스파르타코딩클럽] 4주차 개발일지 / 난관에 부딪히다..
[스파르타코딩클럽] 4주차 개발일지 / 난관에 부딪히다..
이번 주차는 Flask를 배워보면서 미니 프로젝트 2개를 만들어보며
서버를 만들고 클라이언트를 요청하는 연습을 했다.
본격적으로 API를 만들어보면서,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 '방식'이 존재하는데
여러방식이 존재하지만 자주 사용하는 GET과 POST방식을 배워봤다.
* GET → 통상적으로! 데이터 조회(Read)를 요청할 때
예) 영화 목록 조회
→ 데이터 전달 : URL 뒤에 물음표를 붙여 key=value로 전달
→ 예: google.com?q=북극곰
* POST → 통상적으로! 데이터 생성(Create), 변경(Update), 삭제(Delete) 요청할 때
예) 회원가입, 회원탈퇴, 비밀번호 수정
→ 데이터 전달 : 바로 보이지 않는 HTML body에 key:value 형태로 전달
GET 요청 API 기본 코드
@app.route('/test', methods=['GET']) def test_get(): title_receive = request.args.get('title_give') print(title_receive) return jsonify({'result':'success', 'msg': '이 요청은 GET!'})
GET 요청 확인 Ajax 코드
$.ajax({ type: "GET", url: "/test?title_give=봄날은간다", data: {}, success: function(response){ console.log(response) } })
==> 'title_give'로 POST에 입력받은 '봄날은간다'를 받아왔으므로 print 한 결과 '봄날은간다'가 출력될 것이다.
POST 요청 API 기본 코드
@app.route('/test', methods=['POST']) def test_post(): title_receive = request.form['title_give'] print(title_receive) return jsonify({'result':'success', 'msg': '이 요청은 POST!'})
POST 요청 확인 Ajax 코드
$.ajax({ type: "POST", url: "/test", data: { title_give:'봄날은간다' }, success: function(response){ console.log(response) } })
사실 기본 골격들도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한건
얼마나 많이 써보고 손에 익느냐인 것 같다.
하나라도 더 써보고 복습해봐야 내 손에 익고 어려움 없이 해나갈 수 있을 것 같다.
코딩은 정말 하루도 쉬지 않고 조금씩이라도 코드를 써봐야 한다.
초보 단계일수록 게을리하지 말고,
익숙해져 갈 때쯤엔 다양한 프로젝트를 만들어봐야겠다.
from http://queenlisastory.tistory.com/21 by ccl(A) rewrite - 2021-09-17 06: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