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by
flask-style
on
on
내일배움캠프 2일차 개발일지
내일배움캠프 2일차 개발일지
VS
스키마(구조)
관계
다른 구조의 데이터
컬렉션
장점 단점 예시 SQL 명확한 데이터구조
데이터 중복X 시스템이 커지면 복잡
데이터 유연 X MySQL NoSQL 유연한 데이터구조
데이터 분산 용이 데이터 중복 발생 가능
데이터 구조 결정 어려움 mongoDB
클라이언트 ->요청 -> 서버 -> 응답 -> 클라이언트
*Client가 Server에 데이터를 요청(Request) 하면 Server에서 그 데이터를 제공(Response)해주는 원리 *
Client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 방법인 Http 메소드는 크게 2가지가 있다. GET과 POST 방식이다.
Http 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즉, 통신 규약이다.
GET
서버로부터 정보를 조회 하기 위해 설계된 메소드로서 GET 방식은 url에 필요한 데이터 변수를 담아 전달하는 방식이다.
example.com/resourse?temp=1 과 같이 url에 데이터를 담아 전달한다.
POST
데이터를 생성/ 변경하기 위해 설계되었고, 데이터를 body에 담아 전송한다.
example.com/give_temp
from http://l0u0l.tistory.com/4 by ccl(A) rewrite - 2021-09-14 22:2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