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으로 쓸 수 있는 웹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파이썬으로 쓸 수 있는 웹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백엔드하면 어떤 언어가 떠오르시나요 ? 역시 우리나라는 JAVA공화국! JAVA가 먼저 떠오르죠! python하면 아직 이미지가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에 특화된 언어라고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세계적으로는 Java의 Spring보다 오히려 python의 Flask와 Django가 더욱 많이 쓰이고 있는 백엔드 프레임워크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python의 백엔드프레임워크의 특징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서 찾아보았습니다!

1. Flask

플라스크 (Flask)는 파이썬 으로 작성된 마이크로 웹 프레임워크의 한 종류입니다. 특별한 도구나 라이브러리가 필요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 프레임워크라 부른다. 그래서 굉장히 러닝커브가 작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이크로 프레임워크로 경량 프레임워크

유연함, 심플, 쉬운확장

쉬운 학습 및 러닝 커브 낮음

높은 생산성

내장된 DB프레임워크가 없어서 오픈소스 DB라이브러리 사용

가볍다! but 개발 이외에 신경써야할 상황이 생길수도

에어비엔비, 넷플릭스, 레드햇 에서 사용

2. Django

장고(Django)파이썬으로 작성된 오픈 소스 웹 프레임워크로, 모델-뷰-컨트롤러(MVC) 패턴을 따르고 있다. 고도의 데이터베이스 기반 웹사이트를 작성하는 데 있어서 수고를 더는 것이 django의 주된 모굪이다. 그렇기 떄문에 django ORM을 통해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불일치를 해결한다.

너가 웹개발하기에 필요한건 모두 다 있어! 느낌

효율적이고 파워풀한 내부패키지 기능

model-template-view 패턴

django Rest Framework로 쉽게 restful API 구축

강력한 보안

고성능 사이트 대응으로 주로 대형기업이나 테크 기업에서 사용

django ORM을 사용

인스타그램, 스포티파이, 핀터레스트, 요기요 에서 사용

에서 사용 프론트개발하던 사람이 백엔드개발 할때 좋을 것 같음!

왜? 모든것이 갖춰져있음..!

3. FastAPI

FastAPI는 2018년이후 파이썬 3.6+ 으로 API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모던하고, 빠른 웹 프레임 워크이다. 비동기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퍼포먼스가 굉장히 빠르고 최근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있다.

가장 최근에 나온 웹프레임워크로 빠르게 점유율 상승중

Flask와 다르게 비동기작업 지원 -> Flask보다 빠름

고속의 빠른 성능 처리속도

2018년 출시

스프링부트와 구조가 비슷해서 JAVA하던 분들이 사용하기 적합해보임!

UBER에서 사용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장단점들이 존재한다.

from http://hyunsix.tistory.com/120 by ccl(A) rewrite - 2021-08-31 13:0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