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스파르타코딩 왕초보 웹개발 종합반 [4주차]-2 (21.08.14)
스파르타코딩 왕초보 웹개발 종합반 [4주차]-2 (21.08.14)
21.08.14 토요일 (13일 차)
4주 차 4-10 까지 들음
나홀로 메모장도 마저 듣고 싶었으나 하루에 8강 제한에 걸려 더 듣지 못했다. 내일은 완성시킬수 있겠지!
교육 내용(기억나는 것)
- Flask 프레임워크
- 프레임워크 란? 남이 짜둔 규칙이나 틀 안에서 내가 코딩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편함
- 라이브러리는 내가 마음대로 짜는데 중간에 남의 만든것을 자유롭게 갖다 쓰는것
- 서버를 돌아가게 하는 파일이름은 통상적으로 app.py로 짓는편
- flask 서버 시작코드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This is Home!' if __name__ == '__main__': app.run('0.0.0.0',port=5000,debug=True)
- 포트번호는 변경은 가능하나, 웬만하면 바꾸지말라고 함 (다른 포트랑 충돌날 수 있다고 해요)
- Flask 서버 기본폴더
프로젝트 폴더
ㄴstatic 폴더 (이미지, css파일을 넣어둡니다)
ㄴtemplates 폴더 (html파일을 넣어둡니다)
ㄴindex.html
ㄴapp.py 파일 (서버실행)
- flask 내장함수 render_template
사용방법은 import Flask옆에 추가하고 reutrn 에 수정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render_template('index.html')
- API는?
은행의 창구 처럼 서버도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기 위해 만들어놓은 창구 같은 것
여러 방식이 있지만 가장 많이쓰는 것은 GET(조회), POST(생성,변경,삭제) 방식
- 이 순서 기억하기
1. 클라이언트와 서버 연결 확인
(서버쪽 창구만들고 html쪽에서 함수 만든후, 연결 잘 되는지 확인)
2. 서버부터 만들기
3. 클라이언트 만들기
4. 핑퐁하면서 완성
- [모두의책리뷰] 실습완료
- 설치한 interpreter : flask, pymongo
- 실습 내용 : 리뷰 등록 / 전체리뷰 보기
- [나홀로메모장] 준비
- 설치한 interpreter : flask(서버), pymongo(db), requests , bs4 (크롤링)
소감
역시 주말엔 8강 정도 연강은 어렵지않은데 ㅠㅠ
11일 챌린지는 못해서 15일 프로젝트에 참석하지 못해 조금 아쉽다.
이대로라면 다음주 내에 나도 강의는 다 들을 수 있을 것 같다.
사이드프로젝트를 시작해볼수 있을까?
from http://youten.tistory.com/42 by ccl(A) rewrite - 2021-08-14 14:26:42